💎 루비(Ruby) 기본 문법 완전 정복: 코딩 첫걸음 떼기!

안녕하세요! 루비의 매력적인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루비는 개발자가 행복하게 코딩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진 언어답게, 문법이 정말 간결하고 사람의 언어처럼 읽기 쉬운 것이 특징이에요. 프로그래밍이 처음이시라구요? 걱정 마세요! 루비의 기본 문법은 정말 직관적이랍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루비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규칙들, 바로 기본 문법들을 핵심만 쏙쏙 뽑아 알아볼 거예요. 마치 외국어를 배울 때 알파벳과 기본 단어를 익히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 그럼 루비와 함께 즐거운 코딩 여정을 시작해볼까요? 🚀


🛠️ 잠깐! 개발 환경은 준비되셨나요?

🤔 루비 코드를 실행하려면 먼저 여러분의 컴퓨터에 루비가 설치되어 있어야 해요. 아직 설치하지 않으셨다면, 이전 포스팅 [루비 설치 가이드 링크 - 실제 링크로 교체 필요]을 참고하여 설치를 완료하고 돌아와 주세요! 설치 후에는 irb(Interactive Ruby)라는 마법 같은 도구를 사용할 준비가 된답니다.


✨ 루비 코드의 첫걸음: 출력과 주석

📄 화면에 글자 출력하기: `puts` 와 `print`

프로그래밍의 전통적인 첫 단계, "Hello, World!"를 출력해 볼까요? 루비에서는 아주 간단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는 puts 예요.


# 이 코드를 실행하면 화면에 "Hello, Ruby World!"가 출력됩니다.
puts "Hello, Ruby World!"

puts는 'put string'의 약자로, 주어진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고

자동으로 줄바꿈

을 해줍니다. 줄바꿈을 원하지 않을 때는 print를 사용하면 돼요.


print "줄바꿈 없이"
print " 이어서 출력돼요!"
# 실행 결과: 줄바꿈 없이 이어서 출력돼요!

간단하죠? 앞으로 예제 코드의 결과를 보여줄 때 이 출력 명령어들을 자주 사용하게 될 거예요.

📝 개발자를 위한 메모: 주석 (`#`)

코드 중간중간에 설명을 남기고 싶을 때, 또는 특정 코드를 잠시 실행되지 않게 하고 싶을 때 주석을 사용합니다. 루비에서는 # 기호 뒤에 오는 내용은 모두 주석으로 처리되어, 컴퓨터(인터프리터)는 이 부분을 무시합니다.


# 이것은 한 줄 주석입니다. 코드 설명에 유용하죠.
puts "이 코드는 실행됩니다." # 코드 라인 끝에 주석을 달 수도 있어요.

# puts "이 코드는 주석 처리되어 실행되지 않습니다."

팁: 복잡한 로직을 설명하거나, 나중에 코드를 다시 볼 자신을 위해 주석을 잘 활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


📦 데이터를 담는 그릇: 변수와 기본 자료형

🏷️ 변수 선언과 할당 (`=`)

프로그래밍에서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변수(Variable)라는 것을 사용해요. 변수는 마치 이름표가 붙은 상자와 같아서, 원하는 데이터를 넣어두고 나중에 이름표(변수명)를 불러 사용합니다. 루비에서는 변수를 만들 때 특별한 선언 없이, 그냥 이름표를 정하고 `=` 기호로 값을 넣어주면(할당하면) 됩니다.


my_name = "루비"  # my_name 이라는 변수에 "루비" 문자열을 저장
user_age = 20    # user_age 라는 변수에 20 숫자를 저장

puts my_name     # 출력: 루비
puts user_age    # 출력: 20

⚠️ 중요! 루비에서는 변수 이름을 지을 때 보통 여러 단어를 _(밑줄)로 연결하는 snake_case 방식을 사용합니다. (예: user_age, total_count)

🎭 루비의 기본 얼굴들: 주요 자료형

변수에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어요. 루비의 기본적인 데이터 타입(자료형)들을 만나봅시다!

  • 정수 (Integer): 소수점 없는 숫자입니다. (예: 10, -5, 0)
  • 실수 (Float): 소수점이 있는 숫자입니다. (예: 3.14, -0.5, 10.0)
  • 문자열 (String): 글자들의 나열입니다. 따옴표(" 또는 ')로 감싸서 표현해요.
    
    greeting = "안녕하세요!"
    place = '티스토리'
    
    # ✨ 꿀팁: 큰따옴표(") 안에서는 #{...}를 이용해 변수 값을 쉽게 넣을 수 있어요! (문자열 보간)
    message = "여러분, #{place}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greeting}"
    puts message
    # 출력: 여러분, 티스토리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안녕하세요!
        
    문자열 보간(#{})은 정말 유용하니 꼭 기억해두세요!
  • 불리언 (Boolean): 참(true) 또는 거짓(false) 값을 나타냅니다. 조건문 등에서 아주 중요하게 쓰여요.
  • 닐 (nil): '아무 값도 없음'을 의미하는 특별한 값입니다. 다른 언어의 `null`과 비슷해요.

count = 10          # Integer
price = 99.9        # Float
is_active = true    # Boolean
nothing = nil       # nil

puts count.class    # 출력: Integer (어떤 타입인지 확인하는 방법!)
puts price.class    # 출력: Float
puts is_active.class# 출력: TrueClass (true는 TrueClass의 객체)
puts nothing.class  # 출력: NilClass

흥미로운 점: 루비에서는 이 모든 자료형조차 사실은 '객체'랍니다! (지금은 그냥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셔도 좋아요 😉)


🧮 간단한 계산과 비교: 연산자 맛보기

루비로 기본적인 계산도 할 수 있어요. 수학 시간에 배운 연산자들을 사용하면 됩니다.


a = 10
b = 3

puts a + b  # 덧셈: 13
puts a - b  # 뺄셈: 7
puts a * b  # 곱셈: 30
puts a / b  # 나눗셈: 3 (정수끼리 나누면 결과도 정수!)
puts a % b  # 나머지: 1

# 실수를 포함해서 계산하면 결과도 실수!
puts 10.0 / 3.0 # 출력: 3.3333...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나머지 계산까지! 정말 간단하죠? 비교 연산자(>, <, == 등)나 논리 연산자(&&, ||) 등 더 많은 연산자들이 있지만, 그건 다음 단계에서 자세히 다룰게요!


🍯 꿀팁 & 중요 포인트 요약

  • ✨ 루비는 읽기 쉽고 쓰기 쉬운 문법을 지향해요.
  • 📄 화면 출력은 `puts`(줄바꿈 O) 또는 `print`(줄바꿈 X) 사용.
  • 📝 주석은 `#` 기호를 사용해요. 코드 설명을 위해 적극 활용하세요!
  • 🏷️ 변수는 별도 선언 없이 `=` 로 값을 할당하며, 이름은 `snake_case` 가 관례!
  • 🎭 기본 자료형: 숫자(Integer, Float), 문자열(String), 불리언(true/false), `nil`.
  • 💡 루비는 동적 타입 언어예요. 변수 타입을 미리 지정할 필요 없이, 루비가 알아서 값에 따라 타입을 결정합니다!

와! 벌써 루비 기본 문법의 첫걸음을 성공적으로 떼셨습니다! 🎉 어떠셨나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오늘 배운 내용들을 `irb`에서 직접 입력하고 실행해보면서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해요. 손으로 직접 코드를 쳐보는 연습이 최고의 학습 방법이랍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조건문(if)과 반복문(loop)에 대해 알아볼 예정이니 많이 기대해주세요! 궁금한 점은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시고요. 그럼 다음 시간에 만나요! 😊